본문 바로가기

기준 중위소득2

2024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급여 등 급여별 선정기준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28(금) 개최된 제70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과 관련한 정부의 발표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글 싣는 순서 ㆍ2024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인상액 ㆍ중위소득과 평균소득 ㆍ기준 중위소득이란? ㆍ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 계산표 ㆍ기준 중위소득 활용 사업 현황표(2023년 기준) 2024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인상액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되어 4인 가구기준으로 올해 5,400,964원 대비 6.09% 인상된 5,729,913원이며, 1인 가구기준으로 올해 2,077,892원 대비 7.25% 인상된 2,228.. 2023. 8. 6.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의 의미와 급여별 선정기준 & 중위소득 60%란? 지난번 포스팅 때 2023년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자격 조건에 '청년 독립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 100% 이하인 청년이 지원 조건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많은 분이 중위소득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물음이 있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는 중위소득 60%란 무엇이며, 정부 지원정책의 대상 선정에 필요한 2023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의 의미와 급여별 선정 기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1.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의 의미 2. 2023년 급여별 선정기준 3. 중위소득 60%란?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의 의미 기준 중위소득 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기초생활보장 제도를 비롯한 정부의 복지사업의 수.. 2023.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