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커피 이야기3

커피와 건강 하루 섭취량 상한선은? 한국 성인이 섭취하는 커피의 양은 우유보다 5배나 많고, 탄산음료와 비교했을 때 10배 이상이나 많다고 합니다. 성인 한 사람당 1년 동안 마신 커피는 평균 291잔(2015년)에서 353잔(2018년)으로 계속 증가하고 전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커피 소비가 많은 나라입니다. 이렇게 커피 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커피가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도 늘어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커피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임신 중에는 마시는 것을 피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한편 커피를 마시는 사람일수록 당뇨병이나 간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많이 있습니다. 의학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선악 양면의 관점에서 논쟁이 이어지다가 최근 겨우 수렴되고 공인되는 부분들이 보이는 추세라고 합.. 2023. 5. 3.
커피산업, 제3의 물결을 넘어........ 커피산업 제3의 물결이라는 표현은 퓰리처상 수상자인 음식 평론가 조나단 골드(Jonathan Gold)가 사용하며 유명해졌습니다. 골드는 커피산업의 변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The first wave of American coffee culture was probably the 19th-century surge that put Folgers on every table, and the second was the proliferation, starting in the 1960s at Peet's and moving smartly through the Starbucks grande decaf latte, of espresso drinks and regionally labeled coffee. W.. 2023. 4. 3.
커피의 기원과 전파 언제부턴가 커피 한 잔이 주는 편안함과 활력은 책상에 앉아 업무를 시작할 때나 휴식이 필요할 때마다 커피와 함께하는 버릇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요즘 집에서나 사무실에서나 직접 원두를 갈아 핸드드립커피로 내려 마시거나 가끔은 비알레티 모카포트로 끓인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의 소소한 즐거움과 맛을 음미하고 있는 커피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커피벨트 하루 25억 잔이 소비되고 세계에서 석유 다음으로 교역량이 많은 품목인 커피 커피의 역사는 세계의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한편 추위에 약한 커피나무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 국가의 커피농원에서 재배되며, 적도를 중심으로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에서 커피가 잘 자랍니다. 이 지역을 커피 벨트라고 합니다. 커피는 처음 염소가 먹었다? 커피 발견.. 2023. 3. 31.
반응형